사회성과 인간관계
사회성과 인간관계는 인간사회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사회성은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바로 시작됩니다. 아무것도 못하는 아이가 부모의 보살핌 속에서 자라는 과정에서부터 사회성과 인간관계가 시작되게 됩니다. 사람에게 꼭 필요한 사회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사회성이 인간관계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회성
사회성이란 사람이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과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갖는 능력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형성하게 되는 능력을 말합니다. 사회성의 경우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는 행동이나 기본예절, 상대방을 기분 좋게 하는 말투 등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다른 사람과의 감정적인 교감, 호감 등을 통해 사회성이 점점 발달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성이 낮으면 살아가기 힘듭니다. 요즘은 세상이 개인주의 성향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서 사회성이 떨어지거나 사회생활을 전혀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회성이 배운다고 얻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상식을 공부함으로써 어느 정도 보완이 될 수는 있습니다. 사람마다 다른 경우가 많지만 어떤 규칙 내에서 사회생활을 적용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한 사람에게 적용해서 좋은 결과가 있다고 다른 사람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없기에 사람에 따라 융통성 있는 사고가 필요합니다.
사회성과 인간관계
사회성은 사람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사회성은 낮을 수 있습니다. 사람의 인성이 좋다고 해서 좋은 사회성을 가지고 있고 그렇지 않다고 해서 사회성이 낮을 수도 없습니다. 인성이 좋지 않아도 사회적으로 봤을 때 높은 지위에 있거나 돈이 많거나 외모로 사람들을 끌어당기고 인기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항상 베푼다고 해서 사회성이 좋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인간성과 사회성이 꼭 비례해서 나타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요즘 세상에서는 호감을 얻는 방법을 배우고 그것을 활용해서 비즈니스 관계에서 이용하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인간관계에 대한 상담을 하고 고민을 해결해주는 사업도 많이 생겨나고 있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호감을 얻는다는 것은 이성보다는 감성적인 면으로 접근해야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성적인 논리로 이야기하기보다 감성적인 말투, 상냥한 태도, 여유 있는 태도 등도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성이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는 말도 있지만, 요즘은 꼭 사회성이 성공의 지름길로 가진 않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벽을 쌓고 지내는 것보다 서로 교류하면서 서로의 니즈를 파악하고 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이해해주는 것도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사회성이 부족하더라도 진심을 보여주면 상대방은 반드시 호감을 보여줄 것입니다.
댓글